메인배너메인배너참  좋은  세상참 좋은 세상

한국불교전설 - 나옹스님의 효심

페이지 정보

4,514   2016.01.12 22:40

본문

                                                        (이천.영월암)

 지금으로부터 6백여년 전. 고려의 유명한 스님 나옹화상(법명 혜동.1320~76)은 춘설이 어지럽게 흩날리는 길을

사자도 없이 혼자 걷고 있었다. 지금의 양주땅 회암사에서 설법을 마치고 이천 영월암이 있는 설봉산 기슭을 오르는

스님의 발길은 찌푸듯한 날씨처럼 무겁기만 했다.

 이때였다. 어디선가 가까이서 울리는 요령 소리가 스님의 귓전을 울렸다.

"허, 또 누가 이생을 하직한게로군."

자신의 출가 당시 화두였던 사람이 오고 가는 생사의 도리를 되뇌이면서 막 산모퉁이를 돌아서려던 나옹 스님은

초라한 장의 행렬과 마주쳤다.

 상여는 물론 상주도 없이 늙수그레한 영감이 요령을 흔들며 상여 소리를 구슬피 메기고 그 뒤엔 장정 하나가

지게에 관을 메고 무거운 듯 힘겹게 걷고 있었다. 바로 뒤엔 2명의 장정이 삽과 곡괭이를 들고 따랐다.

 행렬은 스님을 보자 한쪽으로 비켜서면서 허리를 굽혔다.

"누가 갔는데 이처럼 의식도 갖추지 못하고...."

"예, 아랫마을 돌이 어멈이 아직 젊은 나이에 세상을 하직했읍니다."

"거참 안됐구먼. 얼마 전 아들을 잃고 정신이 이상해졌다드니.... 나무관세음보살."

 스님은 마지막 가는 돌이 어멈의 왕생극락을 기원하는 염불을 하고는 다시 가던 길을 재촉했다.

 평소 마을을 지나다 몇 번인가 본 돌이 어멈의 모습이 떠올랐다.

그녀는 아들을 잃고 난 뒤 충격을 받아 남의 집 물건을 예사로 훔치고 자주 마을 사람들과 싸우는 등 포악해졌다.

마을에선 처음엔 동정의 눈빛으로 바라보다가 나중엔 하도 말썽을 부리니까 가두어야 한다고 하여 한동안 보이지

않더니 그만 명을 달리하고 말았다.  

 을씨년스런 날씨에 마음마저 착잡한 스님은 문득 출가 전 자신이 고뇌하던 일이 주마등처럼 스쳤다.

 스님이 20살 때였다. 생사고락을 같이 하자고 약속한 절친한 친구가 갑자기 병으로 죽었다. 비통에 잠긴 나옹은

'사람은 죽으면 어디로 가는가'라는 물음을 어른들께 수없이 되풀이 했으나 아무도 아는 이가 없었다.

 벗과의 사별을 인생의 근본문제로 받아들인 나옹은 그길로 공덕산 요연스님을 찾아갔다.

"여기 온 것은 무슨 물건이냐?"

"말하고 듣고 하는 것이 왔으나 보려 하여도 볼 수 없고 찾으려 하여도 찾을 수 없나이다. 어떻게 닦아야

하겠나이까?"

 이말에 요연 스님은 나옹의 공부가 보통 경지가 아님을 알았다.

"나도 너와 같아서 알 수 없으니 다른 스님께 가서 물어라."

 나옹은 그곳을 떠나 여려 곳으로 돌아다니다가 1344년 양주 회암사에서 4년 동안 밤낮을 가리지 않고 앉아서

용맹정진을 하여 깨달음을 얻었다.

 그러나 스님은 더 높은 경지를 체현하기 위해 1347년 중국으로 구법의 길을 떠났다.  연경 법원사에 도착하여

그 절에 머물고 있던 인도 스님 지공화상을 만나 결오했다. 2년간 공부하다 다시 남쪽으로 가서 평산호림에게

법의와 불자를 받고 사방을 두루 다니며 선지식을 친견하던 스님은 어느날  어머님의 타계 소식을 들었다.

 어머님에 대한 애틋한 정이 솟아올랐으나 스님은 출가사문의 본분을 내세워 멀리서 왕생극락을 기원할 뿐였다.

 생각이 여기까지 머물자 스님은 너무도 오랫동안 잊고 지내온 어머님 생각을 하게됐다.

 그날 밤 스님은 선정에 들어 어머님의 행적을 쫓았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나옹 스님의 어머니 정씨는 뜻밖에도 환생하지 못하고 무주고혼이 되어 중음신으로 떠돌고 있는 것이 아닌가.

 스님은 자신을 원망했다. 자기를 낳아준 어머님에 대해 그토록 무관샘했던 자신의 불효가 한스러웠다.

"자식이 출가하면 구족이 복을 받는다는데 우리 어머님은 업장이 얼마나 두터우시길래 구천을 맴돌고 계실까.

혹시 아들의 모습을 못보고 눈감으신 정한이 골수에 맺힌 것은 아닐까?"

 스님은 지옥고에 허덕이는 어머님을 제도한 목련존자를 생각하며 어머님을 천도하기로 결심했다.

나옹 스님은 영월암 법당 뒤 설봉산 기슭 큰 바위에 모셔진 마애지장보살님 앞에서 어머님 천도 기도를 시작했다.

"지장보살, 지장보살..."

 지옥의 한 중생까지도 제도하겠다고 서원한 지장보살의 염호를 부르며 어머님의 왕생극락을 기원하는

나옹 스님의 독경을은 간절했다.  그렇게 기도하기 49일째 되던 날. 나옹 스님은 철야정진에 들어갔다.

 새벽녘에 아직 동이 트기 전, 나옹 스님은 지장보살님의 전신에서 환한 금빛 광채가 비치고 있음을 보았다.

그것은 눈부신 자비의 방광이었다.

 스님은 놀라서 고개를 들고 지장보살의 얼굴을 올려다 보았다. 지장보살님의 눈에선 눈물이 주르르 흐르는

듯했다. 고통받는 지옥 중생 때문에 지옥 문전에서 눈물이 마를 새 없다는 지장보살님이 어머님을 천도하며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것만 같았다.

"아, 지장보살님께서 내 기도에 감응하시어 눈물로써 현현하고 계시는구나."

 나옹 스님은 기도가 성취되어 기뻤다.

"어머님, 이제 아들에 대한 섭섭하신 마음은 거두시고 편히 극락에 드십시요."

 기도를 마친 나옹 스님은 단실에 입정하여 이미 천도왕생하신 어머님을 보았다.

 그 이후부터 영월암 지장보살님 앞에는 선망 부모의 왕생극락을 빌면서 자신의 업장을 소멸하려는

기도객들의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나옹 스님은 영월암에서 14안거를 성만하면서 후학을 제접하고 신도들을 교화했다.

이 마애지장보살상은 지난 84년 12월 보물 제822호로 지정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월간베스트

설문조사

전 국민에게 주는 정해진 금액의 기본소득제를 실시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