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문화재 단 한 점으로도 전시실을 꽉 채우는 백자
페이지 정보
4,676 2015.06.12 17:07
첨부파일
-
4 2015-06-12 17:13:02
본문
ㆍ이대박물관 80년 기념 특별전
ㆍ600여점 보며 이해 폭 넓히고
ㆍ마지막 ‘한 점’ 보며 맛과 멋을-
임아영 기자 layknt@kyunghyang.com
빙 둘러앉을 수 있는 전시실에 백자 한 점이 놓여 있다. 높이 53.3㎝의 백자는 단 한 점에도 불구, 공간의 규모에 기죽지 않는다. 오히려 조선시대 걸작, 명품답게 공간을 당당하게 장악, 압도한다. 조도가 달라지는 감성 조명은 그때마다 백자의 또 다른 얼굴, 다양한 맛을 새롭게 일깨운다. 균형미가 돋보이는 형태, 은은한 색감, 까다로운 철화 안료를 능숙하게 다뤄 그린 생생한 포도송이가 어우러져 관람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국보 제107호인 ‘백자철화 포도문 항아리(사진)’다.
이화여대 박물관이 개관 80주년을 기념, 특별전 <조선백자>를 마련했다.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시대를 상징하는 600여점의 백자가 한자리에 모였다. 단일 백자 전시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가마터 발굴 같은 학술적인 백자 연구와 더불어 백자 소장으로도 유명한 이대 박물관이 주요 소장품을 내놓았고, 여기에 삼성미술관 리움·가회민화박물관·고려대학교박물관 등의 소장품도 나왔다.
‘백자철화 포도무늬 항아리’는 전시장 마지막, 단독 전시실에서 선보이고 있다. 김주연 학예연구원은 “유물을 쭉 둘러보고 전시장을 나가는 것이 아니라, 백자의 미를 오래 느끼고 기억했으면 하는 취지에서 마지막 공간에 단독 전시실을 꾸몄다”고 말했다. 관람객들은 그의 말처럼 꽤 오래 앉아 300여년 전 누군가가 빚어낸 걸작을 깊게 음미한다. 조선시대와 현대, 현실과 상상 속을 오고간다.
‘백자철화포도무늬항아리’는 18세기 작품으로 부수적인 장식 문양을 생략하고 넓은 이파리들과 그 사이로 뻗어 내린 포도넝쿨을 그린 대형 항아리다. 그림의 재료인 철화는 누렇게 번지거나 검은색으로 바래기 쉬워 제대로 된 색감을 내기 어렵다. 하지만 특유의 색감과 구도 등은 이 백자의 작가가 철화를 얼마나 능숙하게 다루고, 또 수준 높은 회화의 힘을 보여주는지 알 수 있다.
백자는 고려 초부터 만들어졌지만 15세기 후반 조선 왕실이 경기도 광주군에 관요인 분원을 설치하면서 본격화된다. 분원은 19세기 말까지 조선의 백자 제작을 주도했다. 조선 왕실은 각종 행사 등 의례를 위해 많은 용기들을 필요로 했고, 그 용기를 통해 왕실의 권위도 드러내고자 했다. 실제 특별한 행사에 사용된 백자는 그 수량과 종류, 조달방법까지 기록해뒀다. ‘백자청화 수복자무늬 팔화형 대접’에 쓰인 명문을 보면 1837년 헌종과 효현왕후의 가례에 사용하기 위해 창덕궁 대전 곳간에 들어온 것임을 알 수 있다.
백자에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과 문화, 탄생부터 죽음까지도 녹아 있다. 왕실에서는 출생한 아기의 태를 좋은 곳에 묻어야 건강하고 귀하게 성장한다고 믿어 무늬가 없는 순백자를 태를 봉안하는 태호로 썼다. 백자 도판인 ‘묘지’를 통해 죽음의 의례에도 쓰였다. 3장인 ‘백자청화 숙의윤씨 묘지’에는 연산군의 후궁이었던 숙의윤씨가 태어난 때부터 1568년 사망 때까지의 주요 일대기가 적혀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경기도와 경상도, 황해도 등 지방의 다양한 백자들도 볼 수 있다. 광주에 관요가 설치된 후 전국의 장인들은 관요 생산품을 닮은 백자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백자에 대한 수요가 전국적으로 늘어나 기술이 발전했고, 조선 말기로 갈수록 지방색이 뚜렷해진다. 사군자가 주로 그려지던 무늬들도 다채로워져 민화풍의 무늬도 등장한다.
백자의 다양한 무늬를 즐기는 것도 감상의 하나다. 사군자나 산수화를 넘어 건강과 장수를 바라는 수복자나 길상무늬, 부귀를 기원하는 모란무늬, 복의 상징인 박쥐, 다산과 풍요의 기원을 담은 포도 등 온갖 무늬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욕망을 읽을 수 있다. 장남원 이화여대 박물관장은 “지배층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사랑한 백자의 풍부한 조형미, 나아가 백자에 녹아든 500년 조선의 이념까지도 감상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람료는 무료, 내년 1월 말까지.
-
아나존자의 일기-2권
위대히 왕비가 대답할 수 없는 것왕궁 안의 복잡한 사정과 얽히고설킨 소문들이 정사에까지 시…
위리야88 2025-06-04 18:26 1 -
츰부다라니357
츰부 츰부 츰츰부 아가셔츰부 바결랍츰부 암발랍츰부 비라츰부 발졀랍츰부 아루가츰부 담뭐츰부살…
위리야88 2025-06-04 18:21 1 -
금강진언358
개경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
위리야88 2025-06-04 18:21 1 -
귀한진언29
데 야타 옴 베칸제 베칸제 마하 베칸제 란자사몽 카퉈쉐야-남회근 선사의 진언대천세계 무가무…
위리야88 2025-06-04 18:20 1 -
약사진언658
개경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
위리야88 2025-06-04 18:19 1 -
신묘장구대다라니360
신묘장구대다라니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위리야88 2025-06-04 18:17 56 -
아난존자의 일기-2권
부왕도 아직은 정정해서 빠른 시일 안에는 죽지않을 것이다. 부왕이 죽기 전에는 그의 소원이…
위리야88 2025-05-31 11:59 119 -
츰부다라니356
츰부 츰부 츰츰부 아가셔츰부 바결랍츰부 암발랍츰부 비라츰부 발졀랍츰부 아루가츰부 담뭐츰부살…
위리야88 2025-05-31 11:52 78 -
금강진언357
개경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
위리야88 2025-05-31 11:52 74 -
귀한진언28
데 야타 옴 베칸제 베칸제 마하 베칸제 란자사몽 카퉈쉐야-남회근 선사의 진언대천세계 무가무…
위리야88 2025-05-31 11:51 71
-
지전보살님 드뎌 발원하셨군요 위리야88 2023-04-14 13:40
-
처처에 걸려들지 않으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위리야 2020-06-23 14:57
-
소중한 법문 감사합니다. 위리야 2020-05-15 11:47
-
구례 또 가야죠꽃 멀미를 하러 츠얼츠얼 내려가렵니다. 처멸 2020-02-02 15:12
-
와하 신용카드로 공중전화를 정말 대단합니다. 처멸 2020-02-02 15:11
-
저는 귀일심원 요익중생 상구보리하화중생 응무소주 이생기심 하겠습니다. 위리야 2020-01-29 11:17
-
화살속도속에 시간을 건져가며 살아가기란 그리 쉬운일이 아니건만,그렇게 살아가시는 님이 계시… 향원 2019-12-17 17:41
-
이제 인연이 되는것이겠지요~ 부처님 말씀이 이세상 살아가는 중생들에게 단비가 되어 삶의 무… 향원 2019-09-13 03:58
-
32분이 다가오는 구랴 보살님아 위리야 2018-06-12 16:45
-
일본여행을 가고 싶습니다. 시간도 조금 밖에 안걸리는데 왜이리 인연 닿기 힘들까요?우리는 … 위리야 2018-03-01 19: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정보광장 검색
월간베스트
채소와 과일을 갈아먹는 디톡스와 로푸드 열풍에 이어 이제는 채소와 과일을 말려 먹는 건과채…
최고관리자 2015-04-21 18:14아천중소문화진흥재단에서 행하는 제5회 아천 효문화예술제입니다.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참여하…
smchang 2018-05-15 15:24비즈니스 세계에서 누가 '신뢰'의 중요성을 모르겠는가. 신뢰를 얻기는 쉽지 않지만 무너뜨…
smchang 2015-12-15 08:45‘제14회 영부디스트 캠프’ 입재식8월4~6일 공주 한국문화연수원전국 각지서 150여 명…
smchang 2023-08-07 11:20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조망하고 김구의 삶과 글씨를 통해 진정한 광복의 의미를 되…
smchang 2021-01-23 12:08